로고

에코포토아카이브

<에파진(EPAZINE)>은 '환경사진아카이브'와 '환경아카이브 풀숲'의 자료로 구성됩니다.
<에파진>에서 환경 관련 다양한 사진 기록과 콘텐츠들을 찾아보세요.

ISSUE11_EPA Re-View《대지의 시간 Time of the Earth》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숲과나눔

본문

 

ISSUE11_EPA Re-View 《대지의 시간 Time of the Earth》 

 


대지의 시간_Poster.jpg

 

기후위기와 코로나19 팬데믹 등으로 환경문제가 뚜렷이 부각하면서 환경과 생태가 주제인 전시가 잇따르는 가운데 최근 《대지의 시간》이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리며 관객의 관심을 이끌었다. 


《대지의 시간》은 국내외 작가 16명의 사진, 조각, 설치, 영상, 건축, 디자인 등 분야를 넘나드는 작품 35점이 출품되었다. 김주리, 나현, 백정기, 서동주, 장민승, 정규동, 정소영의 신작과 더불어 올라퍼 엘리아슨, 장 뤽 밀렌, 주세페 페노네, 크리스티앙 볼탕스키, 히로시 스기모토 국내외 작가들의 출품작은 “동물과 인간의 관계”, “자연과의 교감”, “상호존중을 바탕으로 한 균형의 회복” 등의 주제를 탐구하며 공진화(共進化, 여러 개의 종이 서로 영향을 주며 진화하는 것)를 위한 태도와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전시는 특별히 생태학적 실천을 강조하기 위해, 기존의 전시 형태에서 벗어난 디스플레이 방식이 눈에 띈다. 전시 쓰레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시 종료 후 산업폐기물로 남는 전시 파티션(가벽) 대신에 작품들이 새로운 관계망을 형성할 수 있도록 열린 공간을 조성한 점이 인상 깊다. 전시장 중간에 설치된 지구 모양의 커다란 공은 각 작품을 연결하면서 관객의 동선을 자연스럽게 이어주는 역할을 했는데, 잘 구축된 정원을 거니는 듯한 경험이었다. 


20220322_135248.jpg

<대지의 시간> 전시 전경

 

 

20220322_135911.jpg

<대지의 시간> 전시 전경

 

전시는 자연에 대한 인간 중심적 시각과 학습에 대해 보여주는 정소영과 히로시 스기모토의 작업에서 시작한다. 유구한 지구의 역사와 시간의 흐름에서 인간의 시간이란 작은 구간에 불과함을 성찰하는 올라퍼 엘리아슨과 김주리의 작품으로 이어지며, 인간의 시간이 아니라 모든 생물과 무생물이 생사를 반복해 온 대지의 시간에 우리 자신을 위치시키게 된다. 주세페 페노네의 조각은 지구의 오랜 시간이 압축된 대리석의 표면에서 새로운 생명이 뻗어 나오는 형상을 통해 순환과 연결의 의미를 강조한다. 평생을 새와 교감하고 생활해 온 장 뤽 밀렌은 그 교감의 시간을 새의 시점을 중심으로 기록했다. 동물과 인간의 ‘시각’인지 과정의 진화를 살펴보는 서동주의 작업은 생명의 공통성과 개별성을 체험적으로 구현한다. ‘본다’는 행위에 대한 연구는 백정기의 자연 색소로 인화된 자연의 풍경으로 이어지면서 우리가 안다고 생각한 자연의 이미지가 어떻게 구성되고 학습되어왔는지 돌아보게 한다. 나현의 대만 원주민에 대한 연구는 급작스러운 산업화와 문명의 발달로 단시간에 초래된 기후위기를 겪는 현대인들에게 자연을 경외하면서 서로의 영역을 지켜내는 삶의 지혜를 전달해준다. 크리스티앙 볼탕스키의 영혼의 종소리는 사람, 대지, 하늘, 그리고 눈에 보이지 않는 모든 요소들이 서로 하나로 연결되어 있음을 환기시킨다. 마지막으로 서로 의지하고 연결된 기둥의 구조를 구현한 정규동은 인과율이라는 건축적 개념을 통해 조화와 균형, 존중과 배려에 대한 메시지를 담았다. 중앙홀의 장민승은 1980년대 정부주도의 성장과 국제화 계획에 따라 과천의 산자락에 위치하게 된 동물원, 대공원, 경마장, 미술관을 주축으로 한국의 현대사를 커다랗게 비어있는 동그라미의 형상으로 표현하였다. 


 

20220322_135656.jpg

히로시 스기모토, '디오라마 시리즈' 중에서, 1980, 1994

 

 

20220322_135721.jpg

올라퍼 엘리아손, <시간 증폭기>, 2015

 

 

20220322_140108.jpg

서동주, <비전>, 2021

 

 

20220322_140514.jpg

서동주, <비전>, 2021

 

 

20220322_140738.jpg

'나현' 작품

 

 

20220322_141643.jpg

크리스티앙 볼탕스키, <사해의 작은 영혼>, 2017

 

 

20220322_141717.jpg

OAA(정규동), 인과율, 2021 

 


전시장 한편에는 한국의 생태미술 흐름을 살필 수 있는 아카이브 전시가 열렸다. 한국적 생태미학을 보여주는 대표적 작업인 전국광 작가의 1975년 <수평선> 작업을 재현한 퍼포먼스 사진과 현장 기록 영상, 한국 생태미술의 맹아인 임동식의 작품, 과천의 재개발 과정을 수집하고 기록했던 과천 기반 작가 정재철, 자연 속의 인간 존재를 탐구하며 회화의 경계를 확장하는 김보중,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에 따른 지구의 환경에 대해 적극 발언하고 행동하는 이경호의 작업 등이 다양한 생태미술 관련 단체 활동 자료와 함께 소개되었다. 

 

20220322_144416.jpg

한국의 생태미술의 흐름을 열람할 수 있는 자료들

 

 

20220322_145215.jpg

전국광의 <수평선>(1975)에 대한 기록 

 

 

20220322_145252.jpg

전국광, <수평선> 재현 퍼포먼스 사진 (원작은 1975년 여름, 안면도 꽃지해변, 한국미술청년작가회 야외작품 발표회에서)


인간중심적 관점을 극복하고 생태학적 사유와 실천을 모색하는 전시인 《대지의 시간》이 말하는 ‘생태미술’은 인류의 과거를 돌아보는 일인 동시에 동시대와 미래를 향해 열린 새로운 가능성이다. 이 전시는 동시대 미술가들의 신작과 대표작을 비롯하여 한국 생태미술의 태동과 전개과정을 보여주는 아카이브를 통하여 생태미술의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한다. 생명체는 물론 존재하는 모든 것의 ‘공동의 집’인 지구의 장대한 역사 속에서 인간의 시간을 자리잡게 해 준다. 그리하여 인간 스스로를 거대한 생태계의 일원으로 파악할 때 비로소 뚜렷해지는 생태학적 가치를 성찰하고자 한다. (자료제공 : 국립현대미술관, 사진, 글 EPA 최연하)

 

20220322_145842.jpg

이경호, 어딘가에, 2006-2021

 

 

20220322_145854.jpg

이경호, 어딘가에, 2006-2021


 

 #대지의 시간 #국립현대미술관 #올라퍼엘리아손 #전국광 #히로시스기모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